건강과 요리/약초 세개 317

잎새버섯 효능

▣▣,잎새버섯 효능 아시아인 최초로 미국(암 예방학회)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의 (대체암치료학회)에서도 학회상을 수상한 고베 약학대학 교수이자 면역학자인 난바히로아키(PhD. Nanba Hiroaki) 교수는 지난 20년동안 면역을 키우는 식품의 성분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해 왔습니다. 그는 원숭이들의 식습관에 주목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동물원의 원숭이는 암으로 사망하고, 혈압도 높아지며, 간질환, 고지혈증에도 걸린다고 합니다. 그러나, 야생 원숭이들은 들에서 뛰어놀고, 나무열매를 따먹거나, 풀, 버섯 등을 먹으며 자라는데 이들 야생 원숭이들은 암에도, 고혈압에도, 간 질환에도 걸리지 않고 건강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난바 교수는 Monkey's Bench과 즉, 원숭이들이 앉아서 놀았다(즉, ..

오배자 효능

밀양 구만산 가자하여 갔으나 산행하다 보니 이상한 열매가 있어 사진 몇장 찍어 보네요 어릴때 봤던 그 열매 지금 생각하니 오배자 열매라걸 이제사 알았네요 귀한 오배자 열매 지리산에 가면 지금도 있는지 모르겠네요 ▣▣,오배자 효능 1. 피부건강 오배자의 탁월한 수렴작용으로 피부 점막의 재생을 촉진하는 작용 뿐만 아니라 모공 수축에도 뛰어난 작용을 하여 탄력 있고 매끈한 피부관리에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또한 피부의 상처를 회복하는데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2. 설사증상개선 오배자에 풍부하게 함유된 타닌 성분의 뛰어난 수렴작용으로 잦은 설사 증상을 멎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질 치료에도 효과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3. 지혈작용 오배자의 뛰어난 지혈작용으로 출혈이 있을 때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하며..

소루쟁이 효능

▣▣소루쟁이 효능 ※,특징 굵은 뿌리줄기를 가지고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보랏빛을 띤 굵은 줄기는 곧게 서고 60cm 안팎의 높이에 이른다. 길이 30cm가 넘는 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길쭉한 타원 꼴에 가까운 피침 꼴이다. 잎의 밑동은 둥그스름하고 끝은 무디며 잎 몸에 많은 주름이 잡혀 있다. 작은 꽃이 긴 원뿌리 꼴로 뭉쳐 피는데 층이 지면서 둥글게 배열되어 있다. 꽃잎은 없고 6장의 꽃받침과 6개의 수술 그리고 세 갈래로 갈라진 암술로 꽃이 구성된다. 꽃의 지름은 4mm 안팎이고 빛깔은 초록빛이다. 꽃이 핀 뒤 4개의 날개가 달린 씨를 맺는다. 1,피부 가려움증 소루쟁이 뿌리를 봄과 가을에 캐서 말렸다가 쓴다. 100g을 잘게 썰어서 75% 알콜 500ml에 3-5일 담가 두었다가 8..

비염에 좋은 참느릅나무 효능

▣▣비염에 좋은 참느릅나무 효능 소장과 방광근육의 운동을 강화해 대소변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염증을 제거하는 작용, 기침을 가라앉히는 작용이 있으며, 위염, 위궤양, 위염에 주로 사용한다. 느릅나무는 느티나무와 비슷한 모습으로, 주로 피부에 난 종창이나 종기를 고치는 약으로 쓰여왔다. 느릅나무 껍질을 물에 담가두면 끈끈한 진액이 나오는데 끈끈한 점액 성분이 여러 가지 종창과 종기를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의 껍질 안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등의 성분이 함유됐다. 소장과 방광근육의 운동을 강화해 대소변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염증을 제거하고, 기침을 가라앉히는 작용이 있으며, 위염, 위궤양, 위염에 주로 사용한다. 느릅나무는 회충, 요충, 촌충 같은 기생충을 죽이는 효능이 있어 구충제로도..

더덕의 효능

산행하면서 산 더덕이 있어 새뿌리 캐왔어 화분에 싶어던이 더덕이 싹이 난네요 감기몸살이 나 두달동안 화분을 못받는데 지금 화분을 보니 더덕꽃이 피어 있네요 집에서 키웠지만 꽃이 핀다는것이 신기 하네요 올래 유난히도 더웠어 잎사귀가 말랐어 꽃이 안피우질 알았는데 꽃 한송이을 피웠네요 다음에 더 잘키워 다시 올리께요 ▣▣ 더덕의 효능 1,염증 완화 더덕은사포닌 아라는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데 이 사포닌 성분은 체내의 유해물질이나 독소를 배출시켜주는데 뛰어난 효능이 있다 또한 뚜어난 소염작용을 하기 때문에 피부질환들을 예방 해주어 인후염이나 편도 선염에도 좋다 2,기관지 건강 더덕의 사포닌 성분은 기관지 내의 점막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관지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능이 있다 가래가 많이 끼거..

산갓,나물 효능

▣▣산갓,나물 효능 ▶(산갓)은 쟁이냉이는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주적냉이, 는장이냉이, 주걱냉이, 숟가락냉이, 산갓,으로도 불리 운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가지나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엽신이 흘러 날개처럼 되고 밑부분에는 귀처럼 되어 줄기를 얼싸 안으며 중앙부에 1쌍의 소엽이 있는 것도 있다. ▶줄기 잎은 어긋나며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아심장저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다.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모여나며 길이 8cm 정도의 엽병이 있고 우상으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산의 그늘진 냇가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서며, 위쪽으로 가지를 치며 높이가 20~50cm 정도 자란다...

꽃차 만들수 있는 꽃 종유의 모음

▣▣꽃차 만들수 있는 꽃 종유의 모음 ※,겨울과 이른 봄에 만나는 꽃차 동백꽃차 / 수선화차 / 난꽃차 / 복수초꽃차 / 매화차 / 다양한 매화의 세계 ※,봄에 만나는 꽃차 생강나무꽃차 / 유채꽃차 / 머위꽃차 / 청괴불나무꽃차 / 산수유꽃차 / 개나리꽃차 / 목련차 / 쇠뜨기꽃차 / 조개나물꽃차 / 도화차 / 할미꽃차 / 라일락꽃차 / 산자고꽃차 / 벚꽃차 / 살구꽃차 / 닥나무꽃차 / 탱자꽃차 / 모과꽃차 / 박태기꽃차 / 아그배나무꽃차 / 앵두꽃차 / 제비꽃차 / 민들레꽃차 / 진달래꽃차 / 은행나무꽃차 / 조팝나무꽃차 / 현호색꽃차 / 광대나물꽃차 / 골담초꽃차 / 노랑꽃창포차 / 둥굴레꽃차 / 청미래덩굴꽃차 / 등나무꽃차 / 때죽나무꽃차 / 병꽃차 / 모란꽃차 / 오동꽃차 / 매발톱꽃차 / 찔레..

은행잎 효능

▣▣은행잎 효능 1. 혈관질환 예방 은행잎 추출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징코라이드 및 진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혈류의 원활한 흐름 개선에 뛰어난 작용을 하고 동맥경화나 고혈압, 심근경색 등의 여러 혈관질환들을 예방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2. 항산화 작용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한 징코라이드 등의 다양하게 함유된 항산화 성분들로 하여금 노화와 촉진시키고, 질병을 초래하는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노화방지 및 체내 면역력을 강화하는데도 이로운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3. 뇌 건강 은행잎 추출물은 신경전달물질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비롯하여 뇌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개선시켜 뇌졸중..

황금의 효능

▣▣,황금의 효능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0∼60cm이다. 여러 대가 나와포기로 자라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빛이 돌며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花冠)은 밑부분에서 꼬부라져 곧게 서고 통형이며 길이 1.5∼2.5cm이고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국·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환절기에는 ..

황벽나무 효능

▣▣,황벽나무 효능 황경피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에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은 홈이 진다. 잎은 마주달리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5∼13개로서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맥 밑동에 털이 약간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2가화이다. 꽃잎은 5∼8개이고 안쪽에 털이 있으며, 수꽃에는 5∼6개의 수술과 퇴화한 암술이 있다. 씨방은 5실이다. 열매는 핵과로 7∼10월에 둥글고 검게 익으며, 겨울에도 달려 있다.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내피를 분말로 하거나 달여서 건위제 또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인 내피에서 생긴 이름이다. 한국·일본·중국·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잎의 뒷면에 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