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지킴이

아침 공복 물 한잔의 효능

이모이모 2024. 11. 5. 14:24

▣▣,아침 공복, 따뜻한 물 한 잔의 놀라운 효과

 

아침 물 한 잔이 보약과 같다는 말을 한다. 아침에 마시는 물의 건강 효과는 실제로 상상 이상이다. 몸속 노폐물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건 기본이다. 아침 공복에 마시는 물의 건강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물은 체내 노폐물 배출 효과가 탁월하다. 물은 혈액과 림프액의 양을 늘리고 대소변을 활발하게 해 몸속 노폐물을 흘려보낸다.

원활한 노폐물 배출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만든다. 또한, 깨끗해진 혈액은 심근경색과 뇌경색의 발병 위험을 줄인다. 특히 자는 동안에는 땀, 호흡 등으로 체내 수분이 많게는 1L가 배출된다. 이때 혈액 점도가 높아져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커지게 되는데, 일어나자 공복에 마시는 물은 혈액을 점도를 낮추고 혈액을 맑게 해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낮춘다.

평소 변비로 고생하는 다이어터라면 아침 공복에 물 한 잔은 필수다. 물은 위대장반사를 유발하고 장운동을 촉진해 배변에 도움을 준다. 위대장반사는 물이 위에 들어갔을 때 대장이 반사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물은 칼로리가 없는 데다가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도움을 준다. 간혹 '물을 마시면 몸이 붓지 않을까'하는 생각으로 아침 공복에 물 섭취를 피하는 경우가 있는데, 신장 기능에 이상이 없다면 상관없다.

한편, 아침 공복엔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의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찬물은 자율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해 부정맥 등 심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몸이 정상 체온으로 올리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쓰게 된다. 다른 연령대보다 기초 대사량이 떨어지는 노인의 경우 시원한 물을 마시면 체온이 더 감소하고, 위장 혈류량이 떨어져 소화액 분비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 노화 방지

아침 공복에 마시는 미지근한 물은 체내 독소와 노폐물 배출을 돕기 때문에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며,

세포 회복에도 도움을 줘 피부에도 영향을 끼치고 피부 톤이나 탄력성 같은 피부 미용에도 도움이 됩니다.

2. 혈액순환 개선

아침 공복에 마시는 미지근한 물은 밤새 쌓인 지방 성분과 독소를 배출하면서 혈액 순환이 원활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자는 사이 굳어 져 있던 신체 조직을 풀어주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3. 배변 활동

체내 수분이 부족 하게 되면 배변 활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요.

공복에 미지근한 물을 마셔주면 배변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하지만 차가운 물을 마실 경우 소화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에 따뜻하거나, 미지근한 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결석 예방

아침에 미지근한 물을 마심으로써 요로 결석, 신장 결석이 생기는 것을 방지 하는 도움을 주며,

방광염과 요로감염의 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5,뇌경색, 심근경색 예방

잠을 잘 때 호흡과 땀을 통해 수분이 방출되어 혈액 속 혈액 점도가 높아지는데요.

이때 공복에 물한잔을 마셔주면 혈액이 묽어지면서 뇌경색 또는 심근경색을 예방해줍니다.

 

6,체내 독소 및 노폐물 배출

자는 동안 몸은 회복을 하고 에너지를 저장하며 호르몬 균형을 맞추는데요.

아침에 따뜻한 물을 한잔 마셔주면 체온이 상승하고 자는 동안 밖으로 배출되지 못한 독소와 노폐물을 배출하여 줍니다.

 

◈주의할 점

오늘은 공복에 먹는 아침 물한잔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심부전, 신부전, 갑상선기능저하증, 부종이 있으신 분들은 물을 너무 많이 마실 경우

몸에 해로울 수 있으니 꼭 담당의사와 상담 바랍니다.

인체의 많은 비율이 물로 이루어져있고 사람의 정상 체온인 36.5도 정도의 따뜻한

물을 공복에 마시면 부족한 수분을 채워 몸의 밸런스를 맞춰 주기에 몸에 좋습니다.

 

 

 

 

'건강 지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장 김치 빨리 시어지는 이유.방지하는 비법  (0) 2024.11.24
생 우유 연구 결과  (2) 2024.11.14
물 한잔의 효능  (2) 2024.11.05
커피의 효능  (6) 2024.11.02
당뇨 초기증상 및 자가 진단법  (2) 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