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세개 163

뱀머리 닮은 날개 나방

▣▣뱀머리 닮은 날개 가진 세계 최대 나방 참새보다 큰 나방이 발견됐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날개 폭 25㎝로 세계에서 가장 큰 ‘아틀란티스 나방’이 발견됐다”고 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사진가 샌디시 카둘이 최근 인도 북동부 동부 히말라야 산맥 근처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다 길에 놓여 있던 이 나방을 발견했다. 아틀란티스 나방은 주로 동남아시아 열대 혹은 아열대 기후 지역에서 서식한다. 날개에 복잡한 지도와 같은 무늬가 있어 아틀란티스 나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나방은 날개 끝 부분이 뱀 머리처럼 생겼다 해서 뱀 머리 나방이라 불리기도 한다. 화려한 색상은 천적을 위협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위협적인 생김새와 달리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

곤충 세개 2023.10.23

투명 보석 애벌레

▣▣투명 보석 애벌레 아크라가 코아 현재재 투명 보석 애벌레인 아크라가 코아가 이슈가 되고있습니다. 투명 보석 애벌레 아크라가 코아는 최근 한 해외 동식물 자료 웹사이트에 투명한 몸체를 자랑하는 희귀 애벌레가 소개되면서 누리꾼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음. 수정안에 깨알만한 주황색 보석을 알알이 박아 넣은 듯한 인공적이고 화려한 생김새 덕분에 '보석 애벌레'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는 이 곤충은 '아크라가 코아'라 불리는 나방의 애벌레이며, 애벌레 때의 희귀한 생김새만큼이나 성장 후 모습도 그 인상이 강렬한 것으로 알려짐.

곤충 세개 2023.10.21

희귀 박하 스틱 곤충

▣▣희귀 박하 스틱 곤충 페퍼민트 스틱 곤충은 (Megacrania batesii) 케이프 환란, Etty 베이와 미션 비치의 일부 해변 지역을 따라 매우 작은지역 일부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주로 터키석 밝은 녹색의 판다누스식물잎 범위에서 살며 포식자로부터 보호를 받고 있읍니다. 판다 누스 식물과 스파이크 - 잎이 달린 손바닥 몇 수종만 먹이로 삼읍니다. 페퍼민트 스틱 곤충들은 그들의 알을 꽉 끼는 잎 엽액에 붙이며 짝짓기 먹이 등을 판다 누스에서 해결함니다 ▲왜 박하 스틱 곤충이냐면 ? 방어 메커니즘으로, (호기심 많은 관광객을 포함한) 모든 포식자에게 자극적 유동의 박하냄새 액체를 스프레이처럼 뿌리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적을 일순간 퇴치시키는데 유용함니다. 막대기 곤충 대부분의 수종은 나무에있..

곤충 세개 2023.10.18

긴 막대기 곤충

▣▣긴 막대기 곤충 이름부터 생소한 이 곤충은 일명 ‘막대기 곤충’이라고 불리는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이다. 나뭇가지와 비슷하게 생긴 탓에 언뜻 보면 곤충인지 나뭇가지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의 열대림에서 발견된 포베티쿠스 차니의 몸길이는 무려 56.6㎝. 성인 팔 길이만한 데다 다리를 제외한 몸통 길이만 해도 35.5㎝를 넘을 정도로 장신을 자랑한다. 2008년 발견된 이 곤충은 이로써 100년 만에 기록을 갈아치운 ‘세계 최장신 곤충’으로 기록됐으며, 기존의 기록은 역시 보르네오섬에서 발견됐던 곤충인 포베티쿠스 키르바가 보유하고 있었으며, 전체 몸 길이는 35.6㎝였다

곤충 세개 2023.10.18

청보석 나나니 벌

▣▣청보석 나나니 벌 뒷뜰 수돗가에 놓인 함지박 고인물속에 나나니 한마리가 빠져서 허우적 거렸다. 청자개빛이 번쩍거리는 이 나나니는 약 5CM 정도의 크기에 화려한 붉은빛 다리를 가진 놈이다. 사람이 없이 조용해서 그런지 많은 종류의 나나니가 도처에 도자기집을 짖고있다. 여러종류의 거미를 물어다 마취시켜 낳아놓은 애벌레가 싱싱한 먹이를 먹고 자라도록 하는걸로 유명한 놈들이다. 이놈의 사진을 찍기위해 물속에서 질식시켜 끄집어내 사진을 찍었다. 차츰 정신을 차리더니 몸에묻은 물을 털어내고 날아가 버렸다

곤충 세개 2023.10.18

세계 최초 `한국 좀뱀잠자리

▣▣세계 최초 `한국 좀뱀잠자리 한국 좀뱀잠자리’는 날개가 큰 대형 곤충인 뱀잠자리목(Megaloptera)에 속하며, 1100m 이상의 고층습원인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 용늪에서만 발견된 희귀종이다. 뱀잠자리(snakefly)라는 이름은 길고 둥근 머리와 긴 앞가슴 모양이 마치 뱀이 머리를 곧추세우고 있는 모습과 유사해 지어졌다. 생물자원관은 한국에서 최초로 발견한 한국 고유종임을 강조해 ‘시알리스 코리아나(Sialis koreana n. sp.)’라는 학명과 ‘한국 좀뱀잠자리’라고 명명했다. 좀뱀잠자리속(Sialis)은 전 세계적으로 54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 처음으로 북한에서 ‘시베리아 좀뱀잠자리’ 한 종만이 기록돼있다. 남한에서는 1988년 유충의 추가 보고만 있었다. 성충..

곤충 세개 2023.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