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의 효능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0∼60cm이다. 여러 대가 나와포기로 자라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빛이 돌며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花冠)은 밑부분에서 꼬부라져 곧게 서고 통형이며 길이 1.5∼2.5cm이고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국·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환절기에는 차고 건조한 공기와 함께 꽃가루. 황사 등이 날려 피부를 더욱 자극한다. 어린 아이들의 경우 마른버짐이 피기도 한다. 청결과 보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만 하는 부담스러운 계절인 것이다.
아이의 건조한 피부를 걱정하는 어머니들은 로션 대신 보습성이 강화된 오일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오일은 흐르는 성질이 있어 보습의 지속성이 떨어지고, 잘 흡수가 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으로 두텁게 바르기 어려워 충분한 보호막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휴대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황금을 이용한 반고형의 천연 보습제는 오일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보습효과도 좋아 봄철 아토피 질환 또는 건성피부 보호에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황금(사진)은 산지에서 자라는 높이 20~60㎝의 풀로 7~8월에 보랏빛 꽃이 피고 9월에 열매를 맺는다. 황금은 몸속의 열을 내려준다고 해서 청열 약으로 분류된다. 특히 뿌리는 해열뿐 아니라 피부의 진정과 소염효과가 있어 화끈거리는 피부를 가라앉히는 데도 흔히 처방한다. 건성 피부나 아토피 피부에 좋은 동백. 호호바. 올리브 등의 기름에 황금을 우려내면 훨씬 높은 보습 효과와 흡수력이 뛰어난 보습 제를 만들 수 있다.
황금 천연 보습제는 밀랍이 첨가된 반고형으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고 두텁게 바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밀랍은 화공약품점 등에서 싸게 구입할 수 있으며, 천연 토코페롤은 집에서 먹는 영양제인 토코페롤 두 알 정도를 깨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천연 보습제는 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하며, 2개월 정도면 약효가 떨어지므로 너무 많이 만들어 놓지 않도록 한다.
황금 천연 보습제 만드는 법
1. 황금 20g, 올리브 오일10g, 밀랍12g, 천연 토코페롤 2g을 준비한다.
2. 동백유 100㎖에 황금 20g을 넣고 밀봉 후 한 달간 섭씨 20도 내외의 따뜻한 실내나 해가 잘 드는 곳에 둔다. 하루 한 번씩 흔들어주면 더 잘 우러난다. 이후 개봉해 체에 걸러 오일만 사용한다.
3. 황금 침출 오일과 올리브 오일, 밀랍을 소독된 용기에 넣고 중탕으로 가열한다. 밀랍이 완전히 녹으면 상온에서 30도까지 식힌다.
4. 3에 천연 토코페롤을 넣고 잘 섞어준다.
5. 소독된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굳힌 뒤 사용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의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약재인 황금은 뿌리를 채취하여 뿌리 껍질을 벗겨보면 黃金(황금)과 같이 노란색깔을 띤다. 몸에 열독이 오르거나 오한등이 잦은 것을 치료하는데, 주로 폐에 열로 인한 증상에 多用(다용)된다. 열로 인한 갈증과 황달, 이질, 설사, 소화불량, 황련과 마찬가지로 몸에 있는 종기나 종양, 더욱 더 심해져서 생기는 등창들을 치료한다. 특이하게 일반적으로 쓰이고 차가운 약은 임산부에게는 금지하여야 할 약재로 분류되는데, 황금의 경우 볶으면 임신 중 태동불안 등으로 괴로움을 겪을 때에도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
어린 순은 식용 한다.
根(근)은 黃芩(황금), 종자는 黃芩子(황금자)라 하며 약용한다.
黃芩(황금)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열독(熱毒), 골증(骨蒸),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고 열로 나는 갈증을 멎게 하고 황달, 이질, 설사, 담열(痰熱), 위열(胃熱)을 낫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유옹, 등창, 악창과 돌림열병[天行熱疾]을 낫게 한다.
들과 벌판에 나는데 곳곳에서 다 자란다. 음력 3월 초나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 그 속이 전부 썩었기 때문에 일명 부장(腐腸)이라고도 한다. 색이 진하고 속이 비지 않고 단단한 것이 좋다. 둥근 것은 자금(子芩)이라 하고 갈라진 것은 숙금(宿芩)이라 한다[본초].
속이 마르고 퍼석퍼석하기[飄] 때문에 폐 속에 화(火)를 사(瀉)할 수 있고 담을 삭게 하고 기가 잘 돌게 한다.
수태음경에 들어가며 뿌리가 가늘고 단단하면서 속이 비지 않는 것은 하초의 병을 낫게 하고 대장의 화(火)를 사한다. 물에 넣어서 가라앉는 것을 약에 쓴다. 술로 축여 볶으면 약 기운이 올라가고 동변에 축여 볶으면 내려간다. 보통 때는 생것을 쓴다[입문].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3-4년 자란 그루를 골라서 뿌리를 캐어 햇볕에 반건조후 코르크皮를 두드려 제거하고 다시 완전히 말린다.
성분 : 황금의 뿌리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wogonoside 및 neobaicalein을 함유하며 다시 安息香酸(안식향산), β-sitosterol 등을 포함한다. 莖葉(경엽) 속에는 scutellare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實火(실화)를 瀉(사)하고 濕熱(습열)을 제거하며 止血(지혈), 安胎(안태)의 효능이 있다. 壯熱(장열)에 의한 煩渴(번갈), 肺熱咳嗽(폐열해수), 濕熱(습열)에 의한 瀉痢(사리), 황달, 熱淋(열림), 吐氣(토기), 鼻出血(비출혈), 자궁출혈, 滑精(골정), 目赤腫痛(목적종통), 胎動不安(태동불안), (옹종정창)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살포한다.
황금자(黃芩子, 속썩은풀 씨)
이질로 피고름을 누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장벽농혈을 치료한다.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독성 :무독(無毒)
채집시기/산지 :우리나라 각지 겨울을 제외한 봄·여름·가을에 모두 채취 가능하며, 재배 3~4 년근이 가장 좋다.
가공 :해독작용으로 사용될 때는 생용으로 쓰고 약의 차가운 성질로 몸의 열을 내릴때에는 술과 같이 볶거나 물에 담근 다음 볶으며 구토에는 생강즙과 함께 볶는다. 지혈에는 겉표면이 검게 될 때까지 볶아서 사용한다.
주의 :약의 성질이 차가우므로 비위가 허하거나 차가운 사람, 임산부등은 사용을 금한다.
산수유, 용골과는 상사(相使)작용이 있고, 목단, 여로와는 상외(相畏)작용이 있다.
복용 중에 살구씨를 금한다.
시호(柴胡)를 배합하면 한열(寒熱)을 물리치고, 풍열(風熱)을 제거하며, 기표(肌表)를 깨끗이 한다.
작약(芍藥)을 배합하면 하리(下痢)를 치료하며, 상백피(桑白皮)를 배합하면 폐화(肺火)를 내리게 한다.
또한 백출(白朮)을 배합하면 태아(胎兒)를 안전하게 한다.
소염(消炎), 해열약(解熱藥)으로서 염증(炎症), 충혈(充血), 발열(發熱)을 수반하는 질병(疾病)에서 심하부(心下部)의 붙잡힘, 흉협고만(胸脇苦滿), 번열(煩熱), 하리(下痢) 등을 목표로 응용하며, 습열성황달(濕熱性黃疸), 두통(頭痛), 염증성결막염(炎症性結膜炎), 옹저(癰疽), 태동불안(胎動不安), 호흡기감염, 위염(胃炎), 장염(腸炎) 등에 응용한다.
장염 :황금 온포기 6 ~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 하루 2~3회씩 4 ~ 5일 복용한다.
고혈압 :삼황산(황경피나무껍질 50g, 대황 뿌리 25g, 황금뿌리 25g)을 가루 내어 섞어 한번에 2∼3g씩 하루 3번 먹는다.
기관지천식 :시호 16g, 황금. 작약 각 10g, 대황 8g, 기실 6g, 반하 4g에다 색강 5편과 조 2매를 넣고 달인다.
시호 12g, 황금 8g, 인삼. 반하 각 4g, 감초 2g을 1첩으로 하여 생강 3편과 조 2매를 넣고 달인다.
기관지염 :시호 5g, 반하 4g, 계지 2.5g, 인삼. 황금. 대조. 작약 각 2g, 감초 1.5g, 생강 1g을 600ml의 물에 넣어 반이 되도록 달여 100ml씩 3회로 나누어 먹는다.
백내장 :대황. 황련. 황금 각 1g을 600ml의 물에 넣고 물이 반이 되도록 달여 100ml씩 3회로 나누어 먹는다.
폐렴 :시호 16g, 황금. 작약 각 10g, 대황 8g, 기실 6g, 반하 4g에다 생강 5편과 조 2매를 넣고 달인다.
담낭염(쓸개염) :시호 16g, 황금. 작약 각 10g, 대황 8g, 기실 6g, 반하 4g에다 생강 5편과 조 2매를 넣고 달인다.
자궁출혈 :대황. 황련. 황금 각 1g을 600ml의 물에 넣고 물이 반이 되도록 달여 100ml씩 3회로 나누어 먹는다.
<황금의 효능>
1.항균, 항바이러스 작용
황금은 전통적으로 역병 등 전염병, 피부질환, 이질설사 등에 사용해왔다. 이는 강력한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는 뜻인데, 황색포도상구균이나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 균등에 대한 억재효과가 있다. 또한 B형간염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도 가지고 있다.
2.소염, 항알러지작용
흰쥐의 관절염 실험에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류마티스관절염등 자가면역질환에도 효과적이다.
3.진정작용
대뇌피질에 대한 억제작용을 통해 진정효과를 보인다.
4.혈압강하작용
혈관운동중추를 억제하고 말초혈관의 저항성을 약하게 하여 혈압을 하강시키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5.콜레스테롤강하
6.간보호, 이담작용
7.혈전용해효과
8.세포면역과 항암작용
다른이름 : 經芩(경금),苦督郵(고독우),空腸(공장),內虛(내허),㹠尾芩(돈미금),腐腸(부장),鼠尾芩(돈미금),宿芩(숙금),元芩(원금),印頭(인두),子芩(자금),條芩(조금),土金茶根(토금차근),妒婦(투부),黃文(황문)
약 맛 : 고(苦)
귀 경 : 폐(肺) 담(膽) 위(胃) 대장(大腸)
주 치 : 高血壓,口苦,目赤頭痛,迫血妄行→吐血衄血,小便短赤,濕熱瀉痢,濕熱溫病,熱淋,壯熱煩渴,胎動不安,肺熱咳嗽,火毒熾盛,黃疸
약용부위 : 뿌리
처 방 :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의학입문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의학입문
금 기 : 苦寒한 性味이므로 脾胃虛寒者, 孕婦가 胎寒인 경우에는 服用을 忌한다.
산 지 : 안동,의성
효 능 : 降低血壓,凉血,瀉火,安胎,燥濕,止血,淸熱,解毒
주치증상 : "<本經(본경)>: 주치증상으로는 모든 발열, 황달, 혈변을 동반한 설사, 심한 종기, 火傷(화상) 등을 치료하고 수분과 瘀血(어혈)을 제거한다.
<別錄(별록)> : 痰熱(담열)과 胃中熱(위중열), 아랫배가 꼬이듯 아픈 통증, 소화가 너무 잘되는 것, 여성의 瘀血(어혈)과 下血(하혈), 小兒腹痛(소아복통)을 치료하고 小腸(소장)을 순조롭게 한다.
<甄權(견권)> : 熱毒(열독), 陰虛發熱(음허발열), 寒熱往來(한열왕래), 腸胃(장위)가 순조롭지 못한 것, 五淋(오림)을 치료하고 氣鬱(기울)을 제거하고 關節(관절)의 煩悶(번민)을 제거하여 몸을 개운하게 하고 갈증을 풀어준다.
<池大明(지대명)> : 下氣(하기)시키는 작용이 있고 전염성 열성 질환을 치료하며, 종기의 농을 배출시켜서 乳癰(유옹)과 등에 발생한 종기를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 心(심)을 시원하게 하고 肺(폐)의 濕熱(습열)을 제거하고 肺火(폐화)가 上逆(상역)하는 것을 없애고 上熱(상열) 증상을 치료하고 눈이 붓고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하고 瘀血(어혈)이 울체된 것과 上部(상부)에 瘀血(어혈)이 쌓인 것을 치료하며 膀胱(방광)을 보하고 安胎(안태)작용이 있고 陰(음)을 기르고 陽邪(양사)를 물리친다.
<李時珍(이시진)> : 風熱(풍열), 濕熱(습열), 頭疼(두동), 奔豚(분돈), 熱痛(열통), 火咳(화해), 肺痿(폐위) 및 모든 失血(실혈)을 치료한다(李時珍)."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腐腸(부장), 空腸(공장), 內虛(내허), 妒婦(투부), 經芩(경금), 黃文(황문), 印頭(인두), 苦督郵(고독우)라고 한다. 속이 꽉 찬 것은 子芩(자금), 條芩(조금), 㹠尾芩(돈미금), 鼠尾芩(서미금)이라 한다.
陶弘景(도홍경): 둥근 것을 子芩(자금)이라하고 깨진 것을 宿芩(숙금)이라 하는데 이 약초의 속이 모두 문드러져 있으므로 腐腸(부장)이라고 부른다.
李時珍(이시진): 芩(금)은 <說文(설문)>에는 菳(금)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 색깔이 누런 색이기 때문이다. 혹은 芩(금)을 黔(검)이라고도 하는데 黔(검)은 어두운 누런 색이다. 宿芩(숙금)이란 곧 오래된 뿌리를 뜻하며 속에 구멍이 많고 밖은 누렇고 속은 검기 때문에 지금은 片芩(편금)이라고 한다. 또한 腐腸(부장), 妒婦(투부)라는 명칭을 갖고 있는데, 질투하는 부인의 마음이 시커멓게 타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子芩(자금)은 새로운 뿌리로써 속이 實(실)하므로 지금은 條芩(조금)이라고 부른다. 혹은 西芩(서금)은 속이 빈 것이 많고 색이 검고, 北芩(북금)은 속이 차고 색이 매우 누렇다고 말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