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풍경

손기정 선수

이모이모 2023. 2. 15. 13:29

1912년 10월 9일 평안북도 의주부 광성면 민포동 신의주시 민포동)[4]에서 아버지 손인석과 어머니 김복녀 사이의 3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나[5], 고향에서 소년기를 보냈다. 위로 맏형 손기만과 둘째 형 손기용이 있었다. 어린 시절 당시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그랬듯이 매우 가난했는데, 손기정은 이 당시에 호떡을 매우 좋아했으나 당시 호떡이 꽤 비싸서(5전) 많이 사 먹을 수가 없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그래서 손기정은 학비와 용돈을 벌기 위해 길거리에서 옥수수나 참외 장사를 하기도 하고 우동집에서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했다. 집과 학교가 2km 거리에 있었는데 어린 시절부터 그 거리를 매일 달려 다녔고, 심지어 노는 시간에도 압록강변을 달려 다녔을 정도로 뛰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 때 막연하게 운동 선수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가졌다고 한다.

손기정의 모친 김복녀 여사는 어린 아들이 운동보다는 공부로 성공하길 바랐고, 아들이 달리지 못하도록 잘 벗겨지는 여아용 고무신을 신겨보기도 했다. 그럼에도 손기정은 고무신을 새끼줄로 묶어서 달렸고 새끼줄에 발목이 쓸려서 피가 나도 아랑곳하지 않고 달렸다고 한다.

이런 손기정의 재능을 눈여겨본 당시 담임교사였던 이일성이 손기정에게 육상 선수가 될 것을 권유했고, 약죽보통학교 5학년 때부터 육상선수로 활약했다. 고향 신의주에서 열린 육상대회 장거리 종목에서 1, 2위를 다툴 정도로 실력 있는 선수였다. 하지만 보통학교 졸업 후 생계가 막막해져서 육상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는데, 1932년 이일성 선생이 그를 일본에서 학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고된 노동으로 도저히 학업을 이어갈 수가 없게 되자, 6개월 만에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때 어느 회사의 점원으로 취직하여 학업과 육상을 병행할 수 있었는데, 그 회사의 사장은 당시 신의주시에서 동익상회를 하던 공정규로, 안과의사 겸 국어학자 공병우 박사의 부친이었다. 손기정은 이곳에서 일을 하며 쉬는 날에는 압록강변을 달리며 연습했다. 그리고 1932년 경성부에서 열린 제 2회 동아 마라톤에 출전했는데 서울의 복잡한 지리를 몰라서 삼각지 로터리에서 길을 잃었고 아쉽게 2위를 했다. 그러나 이 경기 이후 인생이 바뀌었는데, 당대의 걸출한 마라토너들이 배출된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양정고등보통학교 육상부 중장거리팀은 한반도 내에서만 유명했지만, 기록만 보면 세계적 수준이었다고 한다. 운동에 전념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자, 더욱 마라톤 훈련에 매진했고 그 결과 이듬해 제3회 동아 마라톤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 손기정 선수의 한

당신은 감동적인 이야기를 좋아하는가.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지도를 펴기 바란다. 아마 당신이 알고 있을 중국과 일본 사이에 한반도가 있고 그 곳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보일 것이다.

만 나라의 어느 마라토너가 그 중심에 있다.

이 나라는 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무력에 의존하는 나라 사이에서 놀랍게도 2000년간 한 번도 자주성을 잃어 본 적이 없는 기적에 가까운 나라이다.

이 한국인들은 나라 대신에 '민족'이라는 표현을 쓰기를 좋아한다. 어느 여름날 우연히 본 한 장의 사진 때문에 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의 굉장한 이야기에 빠져 들고 말았다.

 

1936년 히틀러 통치 시절,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열렸고 그 때 두 일본 인이 1위와 3위를 차지하였다. 2위는 독일인이었다. 헌데 시상대에 올라간 이 두 일본인 승리자들의 표정... 이것은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슬픈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불가사의한 사진.... 무엇이 이 두 승리자들을 이런 슬픈 모습으로 시상대에 서게 했는가...

1월 18일에 공개된 사진입니다. 손기정선생님이 베를린올림픽에서 우승한 후 시상 대에서 월계수 화분으로 일장기를 가리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과거도, 그리고 현재도 가장 인간적인 유교라는 종교가 지배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은 이웃한 일본인(죽음을 찬미하고 성에 탐닉하는)에 대해  '영리한 원숭이'에 불과하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불행히도 이 인간적인 품위를 중시하는 자부심 강한 민족이 이 원숭이들에게 침략, 즉 식민지로 떨어지고 말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당시 대부분의 불행한 식민지의 청년들은 깊은 고뇌와 번민에 개인의 이상을 희생하고 말았고, '손' 과 '남' 이라고 하는 두 청년들 역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 두 청년들은 달림으로써 아마도 자신들의 울분을 표출해야만 했는지 모른다. 이 두 청년들은 많은 일본인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달렸을 것이다. 달리는 내내 이 두 청년들은 무엇을 생각했을까...

그들은 승리했고 시상대에 오를 수 있었지만 그들의 가슴에는 조국 한국의 태극기대신에 핏빛 동그라미의 일장기가 있었고, 스탠드에 역시 이 핏빛 일장기가 올라가고 있었다. 

 (※ 대부분의 국기는 혁명, 투쟁이라든가 승리 또는 위대한 황제를 상징하는 데.. 이 나라 국기는 우주와 인간과 세상 모든 것의 질서와 조화를 의미한다)

 

이때 이 두 청년의 표정이란.... 그들은 깊게 고개를 숙인 채 .... 한없이 부끄럽고 슬픈 얼굴을 어느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 뉴스를 전한 일본 검열하의 한국 신문 EastAsia(동아일보를 지칭)는 이 사진 속의 일장기를 지워 버리고 만다.

 

이 유니크한 저항의 방법,,, 과연 높은 정신적인 종교 유교의 민족답지 않은가. 그런데 일본 정부는 이 신문사를 폐간시키고 만다. 이 우습고도 단순하면서 무지하기까지 한 탄압의 방법이란...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마침내 이 민족은 해방되고 강요당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무서운 또 한 번의 전쟁을 치른 후, 한강의 기적을 통해(한국인은 지구상에서 일본인들을 게을러 보이게 하는 유일한 민족이다)  스페인보다도 포르투칼 보다도 더 강력한 경제적 부를 이루고 만다.

그리고는 1988년 수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는데 이른다.

 

'아름다운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침대  (0) 2023.02.16
성냥개비로 만든 거북선  (0) 2023.02.15
초가집  (0) 2023.02.15
빨대로 만든 작품  (0) 2023.02.15
채소로 만든 작품  (0) 2023.02.15